본문 바로가기

programing/C,Cpp

C언어 [연산자 ]

연산자란?

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합니다. 또 다른 말로 oprater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. 그리고 피연산자 연산에 포함되는 변수나 상수를 말 합니다. 피연산자를 우리는 operande라고 말 하기도 랍니다.

Operand(피연산자) Operator(연산자) Operand(피연산자)
 A + B

연산자의 종류

  • 대입 연산자
  • 산술 연산자
  • 관계 연산자
  • 증감 연산자
  • 논리 연산자
  • 삼항 연산자

대입 연산자

우리가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 값을 설정해 주는 것에서도 우리는 '='등호 기호를 본 적이 있다. 이것을 이용하면 우변 항의 값 또는 변수의 값 또는 연산의 값을 죄 변항에 넣을 수 있다. 

ex) int a= 1+2;  -> a에 3이 저장됨

산술 연산자

산술 연산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사칙연산을 말합니다.

+ 더하기
- 빼기
* 곱하기
/ 나누기(몫)
% 나누기(나머지) 

증감 연산자

++(변수) ex) ++a   a의 값을 1증가 시킨후에 값을 반환한다.
--(변수) ex)  --a    a의 값을 1 감소시킨 후 값을 반환한다.
(변수)++ ex) a++  a의 값을 1 증가시킨 후에 증가되기 전의 값을 반환한다.
(변수)-- ex) a--   a 의 값을 1 감소시킨 후에 감소되기 전의 값을 반환한다.

 

관계 연산자 

참 거짓을 판별할 경우에 사용이 되며 참일 때는 0을 제외한 모든 숫자를 받아들이며

참일 때는 1 거짓일 때는 0을 출력합니다. 

> 크다
< 작다
== 같다
!= 다르다
>= 크거나 같다
<= 같거나 작다

논리 연산자

&& and (a&&b일때 ab둘다 참일경우 1)
|| or(a||b일때 a또는 b둘중 하나만 참일경우 1)
! not(!a a가 아닌경우)

삼항 연산자

(조건)? ():(거짓) 예를들어 (a==b)? 1:-100 이렇게 두었을 경우 ()안의 조건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참이면 1 거짓이면 -100을 반환하게 됩니다.

'programing > C,Cp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언어[함수]  (0) 2020.12.30
C언어 [반복문]  (0) 2020.12.21
C언어[조건문]  (0) 2020.12.19
변수와 상수  (1) 2020.12.12
C언어 구조분석  (3) 2020.12.12